독서/비지니스 17

데드라인

프로젝트 관리방법을 배우려고 읽어보았는데.. 크게 남는 건 없었던 거 같다. 설계단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80%라고 말함 (내생각)하지만 나는 경험적으로 프로토타잎 개발이 더 장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직원수와 성과는 비례하지 않는다-필요 이상의 많은 직원은 오히려 성과를 저해한다. 업무시간과 성과는 비례하지 않는다-업무시간이 짧으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업무시간이 길고, 위에서 압력을 가하면 생산성이 떨어진다. (압력은 일시적으로 주어질때 의미 있다)-결과적으로 생산성은 늘 비슷하다.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장기적 투자다-장기적으로 내재역량을 키우는 것 없이 생산성은 증가하지 않는다

독서/비지니스 2025.07.03

High Output management

관리자의 성과는 관리 그가 영향력을 발휘하고 관리하는 조직의 성과다. 보틀넥을 찾고 그것을 중심으로 설계하라-보틀넥을 중심으로 전체 프로세스를 그려라-문제가 될만한 것들을 최소노력이 투입된 시점에서 커트하면 할수록 효율성이 높아진다. 관리자는 레버리지가 큰 활동을 해야 한다-관리자의 활동이 부서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클수록 레버리지는 확대된다.-중간관리자는 최대 8명까지가 한계다. 8명의 기준은 한 명당 4시간이다.-교육, 프로세스의 개선은 레버리지효과가 큰 업무 중에 하나다. 일대일 면담-일대일 면담이 없이 관리자는 업무를 실제로 파악하기 어렵다-어떤 사람이 성과가 없다면 분명 둘 중 하나다. 동기가 없거나, 능력이 없거나다.-능력이 높은 직원일수록 면담 횟수를 줄이고, 아닐수록 높여라 성과평..

독서/비지니스 2025.06.30

편집광만이 살아남는다

'만일 우리가 인텔에서 쫓겨나고 이사회가 새 CEO를 데리고 온다면 어떻게 할 것 같습니까?' 인텔의 ceo였던 엔디 그로브는 이 질문으로 회사를 살려냈다. 메모리 중심에서 CPU 중심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렇게 큰 대기업이 이런 대대적 전환을 성공시킨 사례는 드물다. 이 말을 바꿔보자. 만일 다른 사람이 나의 상황에 나의 조건에 들어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변곡점에서는 우유부단할 여유는 없다. 가진 모든 것을 쏟아부어서 주도권을 장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황에 피동적으로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 전략적 변곡점은 고양이처럼 살금살금 다가온다. 사건들을 되돌아보고서야 '아 그게 전략적 변곡점이었구나'라고 깨닫게 마련이다. '은제 탄환'은 그래서 의미 있는 사고실험이다. 지금 당장 은제 탄환으로 쏴 ..

독서/비지니스 2025.06.25

일류의 조건

가볍게 읽고 싶어 본 책. 무라카미 하루키 인터뷰에 나왔던 '체력'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이 인상 깊었다. 그렇다. 운동을 해야 한다. 반드시. 훔치는 힘질문을 잘할 수 있을때 훔칠 수 있다. 좋은 질문은 일정 수준 이상의 실력 또는 지식이 있어야 가능하다. 요약하는 힘 요약하는 힘, 그리고 코멘트력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의 발표에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적절한 코멘트를 제시하는 능력을 지닌 젊은 연구자들은 그 이후에도 크게 성장할 확률이 높다.말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것 이것이야말로 지도자의 진정한 역할니다. 추진하는 힘젊은 시절에는 여러 가지 일에 뜻을 두어 이름을 알리거나 권위를 얻고자 하지만, 아직 시간이 많다는 생각에 게으름 피우며 눈앞에 보이는 일에만 신경을 쏟아 세월을 허비하기 쉽다. 그러다 보..

독서/비지니스 2025.06.17

훅 -일상을 사로잡는 제품의 비밀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제품은 사용자의 ‘습관’에 기반하고 있다. 제품이 일상의 일부가 되면서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그것을 사용하게 된다.트리거 → 행동 → 가변적 보상 → 투자사용자가 제품을 경험하려면 먼저 트리거가 필요하다. 트리거에 반응해 특정 행동을 하게 되면, 그 결과로 가변적 보상을 받는다. 이 가변적인 보상은 도파민을 자극하고, 사용자는 제품에 금전적이든 비금전적이든 자신의 설정을 추가하는 투자를 하게 된다. 이렇게 투자한 제품은 점점 더 가치 있게 느껴지며, 일종의 심리적 편향이 생긴다. 좋은 사례가 이케아 효과다. 직접 조립한 가구에 더 큰 애착을 느끼는 이유다. 이는 심리학에서 일관성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제품은 사용자에게 습관으로 자리 잡는다.습관의 정의어떤..

독서/비지니스 2025.01.31

크래프톤 웨이

장병규 의장과 크래프톤 멤버들의 고난기. 꼭 잘해야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버틸 수 있는 힘이 성공을 이끈다. 크래프톤은 세이클럽, 피망 등을 서비스하는 네오위즈의 멤버들, 그리고 엔씨소프트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회사다. 네오위즈의 창업자 장병규는 네오위즈를 경영하며 얻은 인맥과 평판, 그리고 첫눈을 매각하며 얻은 자금력을 가지고 있었다. 박용현은 엔씨소프트에서 대작 리니지2를 성공시킨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엔씨에서 개발진을 이끌고 나와 제작 중심의 회사를 만들려 했다. 박용현 사단은 최고의 기술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금이 부족했다. 때문에 박용현은 좋은 평판과 자금력을 가진 장병규와 힘을 합쳐 크래프톤을 창업한다. 장병규는 게임회사 경영자로서 준비된 사람은 아니었다. 그는 게임을 좋..

독서/비지니스 2024.11.20

일론 머스크 part 1

유명 전기작가 아이작슨이 쓴 일론 머스크의 일대기. 너무도 특별한 인물인 일론 머스크에게 감정이입하는 진기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책이다. 엄청난 두께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보듯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아버지 애롤 머스크머스크는 가정폭력 속에서 자랐다. 아버지 애롤 머스크는 지킬박사와 하이드같이 양면성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는 정교한 거짓말을 일삼는 사람이었고, 언제든지 기분이 순식간에 바뀔 수 있는 사람이었다. 일론 또한 애롤만큼 양면적이며, 순식간에 기분이 바뀐다. 일론의 주변인들은 이것을 '악마모드로 바뀐다'라고 말한다. 그는 아버지를 미워했지만 아버지를 닮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모든 사람은 아버지의 기대에 부응하거나 아버지의 실수를 만회하려고 기 쓰며 산다'  일론의 삶은 ..

독서/비지니스 2024.11.13

일론 머스크 part 2

스페이스 X CEO 일론은 과도한 일정을 주고, 그 과도한 일정을 또다시 반으로 줄이는 행동을 반복했다. 이는 직원들의 사기를 오히려 떨어트릴 수 있는 요소다.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에 따르면 이런 경영스타일은 직원들의 몰입경험을 저해한다.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일론의 회사들은 경쟁사들과 비할 수 없는 효율성을 달성했다. 일론은 바보지수를 개발했다. 바보지수는 완제품이 기본 재료비보다 얼마나 비싼지를 계산한 것이다. 높은 바보지수는 효율적으로 개선할 여지가 많다는 뜻이다. 일론은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로켓 부품들을 흔히 볼 수 있는 부품과 기구로 변경하여 개발비용을 엄청나게 줄였다. 테슬라 마틴 에버하드는 전기차 회사 테슬라를 만들었다. 에버하드와는 별개로 스트로벨은 리튬이온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기차 회사..

독서/비지니스 2024.11.13

일론 머스크 part 3

인공지능일론과 레리 페이지는 원래 절친이었다. 하지만 둘은 AI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레리 페이지는 오직 인간만이 지구의 지배자여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우월한 위치에 도달한다면, 그 또한 잘못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머스크는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우위에 설 수없도록 통제하는 AI 정렬(ai alignment)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구글이 딥마인드를 인수하면서 래리 페이지와 머스크는 멀어진다. 머스크는 딥마인드에 대항하기 위해 셈 울트먼과 함께 비영리 인공지능 연구단체인 openai를 창립한다. 이때 일론은 딥마인드의 핵심개발자인 일리야 수츠캐버를 스카우트한다. 래리 페이지를 엄청나게 분노했으며, 일론과 더더욱 멀어지는 계기가 된다. 머스크는 opena..

독서/비지니스 2024.11.08

네 인생 우습지 않다

특별하지는 않지만, 전한길 선생의 진심이 느껴지는 글. 이것이 이 사람이 성공할 수 있었던 힘일까? 남 욕하는 순간 진 거다남을 욕하고 싶어질 땐 '내가 못난 놈이구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남한테 너무 관심두지 말고 내가 어떻게 하면 잘할 것인지만 생각하자. 싸움에서 이기는 원리상대가 송곳으로 찌를 때, 스폰지가 되어주면 된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사람이 그렇게 변한다 사람은 끊임없이 배신하는 존재배신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렇게 말했다. 꽃과 열매 모두를 주지 마라. 꽃은 주되 열매는 주지 말아야 한다.고난은 감추어진 축복이다.

독서/비지니스 2024.10.13